Old OS X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팟 라이트를 사용해서 검색을 빠르게 스팟 라이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타이거때 부터 추가된 기능으로서 내 컴퓨터에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빠르게 찾을 수있습니다. 윈도우 시절 파일을 검색할때는 검색단어를 입력 하고 검색을 시작하면, 요즘의 웹검색보다도 느린 검색을 보여주었습니다. 무얼 그렇게 한참을 찾아대던지 맥에서 스팟라이트를 이용해 보세요~ 검색단어를 입력 즉시 바로 바로 결과가 나타납니다. 이번에 비스타에선 맥과 비슷하?게 검색기능을 또 따라했다고 하더군요~ 하던지 말던지 이지만~ 스팟 라이트만의 또 다른 하나가 있습니다. 사팟라이트를 실행 하시고, 단축키는 보통 Ctrl + Space 입니다. 맥 오에스를 영문으로 사용하시는 분은 kind: 사용하시고, 한글을 사용하시는 분은 종류: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기능.. 더보기 Mac Mail을 사용하자! - 3 맥 메일을 잘 사용하고 계십니까?? 이번에는 메일이 오면 "메일이 도착했습니다." 라는 소리가 나도록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설정되어있는것 보다 메일이 올때마다 영화에서처럼 메일이 도착했습니다 등의 사운드가 나오면 주변에서 더 부러워 할수도 있을것이고 어찌 하는거냐궁....막 그럴겁니다. 사실 윈도우에서도 좀 복잡하게 만들어 놓아서 그렇지 가능은 합니당....ㅋㅋㅋ 먼저 위의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이 사운드가 맘에 안드시면, 원하시는 사운드 파일을 새로 구하셔도 됩니다. 확장자는 .wav파일이면 됩니다. 환경설정에 들어가세요~ 누차 이야기 하지만 어지간 하시면, 단축키를 이용하시는 것을 버릇을 들이세요~ 별로 어렵지 않으니 여러가지 반복적인 기능은 단축키를 이용하심이 훨씬 편하고 빠른 작업이.. 더보기 미리보기 활용하기 - 2 미리보기 기능을 한가지 더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미리보기 윗줄에 나와있는 보관함을 여러서 그곳에 다른그림을 드래그 해 넣으면 새로운 그림보기 리스트를 만드실수도 있고, 그림이 회전되어져 있는 이미지를 회전해서 새로 저장하실수도 있으며, 원래사이즈로 보기나 창에 맞추어 보기등을 하실 수 있는 그런 기본적인 기능이외에~ 미리보기에서 원하는 부분만 캡쳐해서 저장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메뉴에 보면 캡쳐 하기가 있습니다만 그것보다 더 쉬운 방법이 있어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미리보기에서 그림 화면에 마우스 커서를 대면 십자가 모양으로 해서 그림의 일정 부분을 선택할수있습니다. 이것을 이용해 사진의 따로 떼어내서 저장하고싶은 만큼 선택을 해 줍니다. 선택후 선택 범위를 늘리거나 줄이는중의 작업도 가능합니다... 더보기 미리보기 활용하기 - 1 미리보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부분의 OS에 번들된 이미지 보기는 거의 기본적인 기능만 지원을 하는것이 대부분입니다. Mac OS X도 마찬가지 입니다. 새로 나온 레퍼드의 커버플로우 기능이나, 퀵룩을 통해서 보면 어려움 없이 사용도 가능합니다만 타이거 사용자를 위해서 (저도 아직은 타이거를 사용하니 타이거 위주가 되는군요, 레퍼드 설치하면 레퍼드 위주로 가겠습니다.) 설명을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비단 타이거 사용자를 위한것이긴 하지만 레퍼드 사용자도 보아두면 좋을듯합니다. 이미지가 있는 폴더에서 그림파일이 섬네일 이미지로 보이지 않고 그냥 아이콘으로 보인다면, Command + J 를 눌러서 아이콘 미리보기 에 체크해 주시면 됩니다. 맨 위의 아이콘 크기 조절로 원하는 크기로 조절도 가능하십니다.. 더보기 타이거 백업하기 - parallels 필자는 윈도우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관계로 윈도우 백엡에 관해서는 글을 남기지 않을작정이었으나. 국내 사정상 어쩔수 없이 윈도우 관련하여서도 남겨야 할것같군요~~ 참 안타까운 일입니다. 붓캠프야 그냥 업그레이드로 깔던, 새로 깔던 윈도우 파티션만 지우지 않고 설치하면 지워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페러렐즈의 경우는 윈도우즈 이미지 파일을 만 백업하고 설치만 새로 하면됩니다. 그 윈도우즈 이미지 파일이 어디있는지만 알면 되겠지요~ 윈도우즈 이미지 파일은 계정/라이브러리/parallels/ 폴더에 내가 설치시에 지정한 이름의 폴더가 있고 그 밑에 이미지 파일이 있습니다. 이미지 파일만 백업해도 되지만 대부분 폴더채로 백업해 놓으셨다가, 같은 자리에 놓으시고 페러렐즈를 실행하시면됩니다. 참고로 하나더 알려드리자.. 더보기 타이거 백업하기 - 사파리 북마크 티아거 백업에서 이전의 북마크도 당근 백업을 해두어야 겠지요~ 그리고 새 시스템에 다시 불러와서 등록되어있는 사이트에 또 접속을 해야 겠지요 저의 블로그도 등록이 당근 되어있어야 하겠구요~~^^;;; 언제나 그렇듯 맥의 백업은 아주 단순 그자체입니다. 파일메뉴에서 북마크 내보내기를 해주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 사파리 3.0이고 아직 3.0이 한글버전이 안되어있군요~~그래서 영문으로 뜨니 이해해 주세요~~ 그러나 어려운 단어도 아니니 아시리라 봅니다. 위와 같이 저장할 곳을 선택해 주신 후에 저장된 북마크html파일만 백업해 두시면 됩니다. 자 보시면 아시겠지만, 새 시스템에서 불러오는 방법은 임포트 해 주시면 됩니다.... 너무 간단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일테지만 미처 생각지 못해서 북마크를 잊고.. 더보기 타이거 백업하기 - iCal, 주소록 오늘은 iCal과 주소록을 백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iCal작성과 주소록 작성이 먼저이긴 하나~ 어찌 순서가 백업이 먼저가 되어버렸군요~~ iCal과 주소록은 그리 어렵지 않으니 한번 이것저것 해보시기 바랍니다. 나중에 자세히 다루도록 하고 오늘은 백업부터 먼저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iCal 과 주소록은 각 메뉴에 백업메뉴가 따로 있다. 주소록에는 두가지 백업 방식이 있습니다. 같은 맥의 주소록 백업은 위의 메뉴를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또한가지 방법은 vCard로의 백업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주소록에 관한 어플은 저 vCard라는것을 지원합니다. 윈도의 그것도 vCard를 지원합니다. 여기서 vCard는 몇가지로 더 나뉘어 질수있는데 각 주소록 하나를 선택해서 vCard로 보내면 그 하나만 vCar.. 더보기 타이거 백업하기 - iPhoto, iTunes 참 쉬운 백업 중에 한가지 입니다. 말이 더 필요없는것중에 한가지 이지요~~ 윈도우의 그런것과는 확연히 차이가 보이는 백업입니다. 이 백업은 타이거와 레퍼드(Leopard)도 동일하게 적용이 될것입니다. 먼저 iPhoto의 경우 알아보지요~ 위 폴더의 iPhoto Library 폴더를 저장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새 운영체제에 같은 자리에 복사해 넣으시면 됩니다.... 모야?? 이거 너무 간단하자나....ㅡ.ㅡ;;;네 너무 간단합니단. 간단하니 한가지 더 알려드리지요~ 그 옆에 Photo Booth 폴더도 그냥 복사해서 같은 자리에 복사해 주셔도 포토부스의 사진이 그대로 백업이 되실겁니당....^^;; 이것도 느므 간단하자죵~~ 다음은 iTunes의 백업입니다.... 아이튠즈도 너무 간단합니다. 위의 .. 더보기 타이거 백업하기 - 맥 메일 백업 Leopard의 출시등으로 해서 새로 설치할지 아님 그냥 덮어서 깔지 고민하시는 분들도 꽤되시는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론 새로깔고 하는걸 밥먹듯이 하다보니(과장이 심했군요) 백업에 대해서 이것저것 찾다보니~ 최대한의 백업을 알게 되더군요~ 가장 먼저 백업해야 할 것으로 메일을 백업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 백업 사이트나, .mac등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긴하나~ 저의 경우 .mac을 사용안하고 있으므로 사용할수없다. 먼저 저는 Gmail의 POP서버를 이용하는 메이을 이용합니다. 몇일전 Gmail이 IMAP을 일부 지원을 하더군요~~ 타이거에서 타이거로의 백업입니다. 아직 레퍼드에선 적용을 해보지 않았습니다. 정확히 레퍼드까지 지원이 되는지 확실치 않으므로~ 참고하세요~ 첫번째로 백업해야 하는.. 더보기 RSS를 사용해 보자~ 먼저 RSS가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겠습니다만~ 모든 것이 다 그렇듯 자세히 알려고 하면 무슨 새로운 용어도 많고, 알아듣지도 못하는 말들이 수두룩 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할까요?? 쉽게 정리를 해 드리지요~~ 자주 업데이트 되는 사이트나 블로그 등 그리고 그 내용을 한번에 보기 어려운것 등을 쉽게 헤드라인등으로 볼수있도록 해놓은 것입니다. 무슨 XML이 어쩌니 무슨 약자니 등은 알필요없습니다. 화면보호기인 RSS Visualizer를 이용해서 저의 블로그를 RSS 로 보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저의 블로그의 RSS를 북마크에 등록을 하셔야 합니다. 왼쪽 위의 북 마크 아이콘을 클릭해서 RSS 를 저정할 폴더를 하나만들어 줍니다. 이곳에 만들던 북마크로 바로 가게 하기 위해 만들거나 그것은 사용하는.. 더보기 cocoa 사전을 사용해 보자 사전은 언제나 필요하게 마련입니다. 맥에서 사용가능한 사전은 있으나, 쓸만한 한/영 사전은 없습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cocoa 사전입니다. osxdev의 여러 개발자 분들이 만들어 주신 무료 사전입니다. 아래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http://wangsy.com/project/cocoadic/ 그리고 또하나를 다운받으셔야 합니다. http://www.hanminsuk.com/eyeson/ 에서 cocoa Dictionary idioms를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다운 받은 파일을 보시면 첫번째 다운 받은 파일은, cocoadic.tar.bz2.tar 입니다. .tar라는것을 처음보신분들이 있을겁니다. .tar는 리눅스등에서 쓰이는 압축방식입니다. 파일명에 보면, bz2라는것도 있는데 이.. 더보기 Icon변경하기 사람들이 많이 하는 행위 중 하나가 아이콘을 변경하는 일일것입니다. 윈도우에선 거의 기본 아이콘을 사용해서 어찌 변경했는지 기억이 나질 않습니다. 맥에서도 기본 아이콘 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자료가 많아지므로 해서 자료분류의 의미로 아이콘을 변경하기도 하고, 보기 이뻐보이기 위해서도 바꾸기도 합니다. 그럼 먼저 할일은 아이콘을 구해야 겠지요?? http://interfacelift.com/ 필자가 자주 가는 사이트 입니다. 바탕화면도 크기별, 종류별로 많이 있고, 아이콘도 아주 많은 양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원하는 아이콘을 클릭해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다운 받은 아이콘 이미지 중에 내가 바꾸고자 하는 아이콘을 선택하고 Command + C 를 눌러서 복사합니다. 아시겠지만 모든 복사 단축키는 Comman.. 더보기 iTunes로 음악 듣기 - 6 아이튠즈를 멋지게 사용하는 방법중에 한가지가 앨범자켓을 모두 등록해 놓는것일겁니다. 간혹 CDDB에서 검색된 것들도 앨범자켓이미지가 바로 업데이트가 안되는경우도 있습니다. 쉬운 방법중에 한가지는 iTunes스토어에서 앨범 자켓사진을 가져오기 하는것인데~ 이것도 iTunes계정이 있어야만 하고, 이 아이튠즈 계정을 받기도 그리 쉽지 많은 않은것도 사실이다. 그러한 이유로 오늘 한가지 어플을 소개하고자 한다. http://nclasssoftware.com/ 이곳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애플 어플의 셋업이 항상 그렇듯이 그냥 응용프로그램 사이트에 끌어다 넣으면 됩니다. 어플을 실행하면 iTunes와 같이 실행이 됩니다. 실행하면 아이튠즈의 리스트가 모두 뜹니다. 그 리스트 중에 앨범 자켓이미지가 필요한 노.. 더보기 iTunes로 음악 듣기 - 5 이제 나만의 음악 시디를 제작하거나, 여자친구등에게 줄 음악 시디를 한번 만들어 보도록 할 겁니다. 전 시간에 배운 것으로 내가 원하는 노래를 재생목록으로 만든 후에 그 목록을 선택하면 오른쪽 맨 아래 위와 같이 디스크 굽기라는 단추가 생깁니다. 공CD등을 넣은 후에 이 디스크 굽기를 하면 음악 시디가 생성됩니다. 아주 간단하죠~~~?^^;;; 애플이 이것만으로 음악시디 제작을 끝낼래기 없습니다. 자 ~ 집에 프린트가 있으면 음악시디 자켓도 만들어야 겠지요? 내가 만들고자 하는 재생목록을 선택한 후 Command + P (모든 프린트 명령은 Command + P 입니다.) 하시면 앨범 자켓을 만들수 있습니다. 단일 가수의 노래만 들어가 있다면 싱긍 커버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그러면 그 리스트에 추가된 .. 더보기 iTunes로 음악 듣기 - 4 이제는 노래를 재생목록 별로 나누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재생목록에는 크게 두가지 있습니다. 8분음표 모양의 아이콘을 한 일반 재생목록과, 톱니 모양을 한 스마트 재생목록이 있습니다. 스마트 재생목록의 아이콘은 일전에 메일부분에서도 보신적이 있을겁니다. 맥 메일에서와 같이 내가 어떠한 조건을 지정해 두면 그 조건에 해당하는 노래들은 자동으로 분류를 해줍니다. 그럼 재생목록을 만들어 볼까요? 먼저 일반재생목록은 아이툰즈아래에 있는 + 아이콘을 클릭해도 되며, 위의 파일 메뉴에서 새로운 재생목록 (Command + N )을 하셔도 됩니다. 그러면 사이드 바에 무제재생목록이 하나 생성됩니다. 이곳에 내가 원하는 제목을 넣으시고 원하는 노래를 선택하셔서 끌어 다 놓으면 재생목록이 생성됩니다. 이곳에서 노래를 지워.. 더보기 iTunes로 음악 듣기 - 3 노래가 점점 많이 지다 보니 문제점들도 하나 둘씩 나타날 것입니다. 가장 큰 문제점이 아마도 한글이나 일본어등 2바이트 언어들이 깨져서 나오는 경우가 있을겁니다. 이런경우에 한방에 고칠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태그가 깨져있는 노래들을 선택을 한 후에 위의 메뉴에서 고급을 선택합니다. 위와같이 ID3 태그 변환을 선택합니다. 그런후에 아래와 같이 설정하고 승인을 해 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노래의 제목이 원래대로 돌아올 것입니다. 그러나 위와같이 했는데도 돌아오지 않고 여전히 깨져있다면, 일일이 편집을 해주시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더보기 iTunes로 음악 듣기 - 2 이제 아이튠즈에 노래를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노래파일을 그냥 드래그 앤 드롭으로 아이튠즈 화면에 가져 가시면 노래가 추가가 됩니다. 그러면 노래가 들어가게 될것입니다. 이 노래들은 보통 CD에서 가져온것이면 CDDB에서 자동으로 노래 제목이나 태그등을 정리해서 가져오므로 잘 정리가 되겠지만, 그렇지 않고 한곡등을 불법으로 다운받은 등의 노래는 엉망으로 분류가 되어있는것들이 대부분입니다. 이런것들을 정리를 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편집하고자 하는 노래를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 클릭을 하시거나, Command + I 하시면 됩니다. Command + I 단축키는 맥에선 종보보기로 통용되는 단축키 입니다. 기억해 두세요~ info정도로 해석되겠네요 일반 요약에 보시면 대략적인 이 노래.. 더보기 iTunes로 음악 듣기 - 1 조금 늦은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오늘은 iTunes에 대해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이전에 윈도우를 사용하셨어도 아이튠즈는 사용을 해 보았음직한 어플입니다. 어떤 이들은 아이튠즈가 어렵다고 하기도 하는데~ 그냥 편하게 생각하면, 이것보다 더 쉽고 간결하게 음악파일을 관리해 주는 유틸은 그리 많지 않은듯합니다. 윈도우시절엔 모든 노래를 여기저기 폴더 구석구석 등등에 중복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생길정도로 복잡하게 관리가 되었을 겁니다. 그러나 아이튠즈를 이요아면 노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진가를 발휘 하게됩니다. 처음 아이튠즈를 실행하면, 기본적인 등록 및 설정을 할 수 있는 창들이 몇번 지나갈 겁니다. 그냥 기본으로 선택을 하시고 넘기시면 됩니다. 제가 그 내용들을 캡처를 받아놓지 않아. 어떤 내용이 나오는.. 더보기 사파리 유용한 플러그인 PicLens라는 플러그 인 입니다. http://www.piclens.com/safari/ 이곳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인터넷 사이트에서 있는 이미지를 전체 화면으로 슬라이드 쇼 형태로 볼수있는 것입니다. 설치하시고 구글등에서 이미지를 검색 하시고 이 이미지에 마우스 포인터를 가져 가면 아래와 같이 플레이 버튼이 보입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화면이 커지면서 슬라이드 쇼로 보실수있습니다. 방향키 등으로 빠르게 검색도 가능하고 위 아래에 있는 검색바등은 조금 지나면 없어집니다. 다시 마우스 등을 움직이면 다시 나타납니다. 이미지를 검색중에 그 이미지가 있는 사이트로 이동을 원하시면, 왼쪽 위에 X 가 있는 부분 옆에 Google이라고 적힌 오른쪽에 있는 등군 원에 > 이모양을 클릭하면 그 이미지가 있는 .. 더보기 Dock 의 작은 팁 한가지 Dock가 화면 아래에 기본으로 자리잡고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사파리 등의 창을 크게 키워도 Dock이상 커지지 않으니 조금 불편하실겁니다. 이 독을 왼쪽으로 옮겨 놓으면 맥의 화면도 보통 와이드 이기때문에 왼쪽에서 아무리 자리를 차지해도 다른 어플의 창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자 이제 Dock를 왼쪽으로 옮겨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스템 환경설정 / Dock에서 위치를 조정해도 되지만 간단히 빠르게 Dock의 위치등을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휴지통과 어플 사이에 보면 라인이 하나 있다 이부분에 포인터를 가져간후 Ctrl + 클릭을 하면 시스템환경설정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는 것들을 이곳에서도 설정할수있다. 또한가지 그 휴지통과 어플사이 라인을 클릭한 후 드래그 하면 Dock의 크기를 조절할수도 있다.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